레바논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바논 프리미어리그는 1934년에 시작된 레바논의 최상위 남자 프로 축구 리그이다. 1933년 레바논 축구 협회(LFA)가 창설된 후, 에드먼드 루베이즈 컵을 시작으로 리그가 출범했다. 알 안사르 FC가 1988년부터 1999년까지 11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지배했고, 이후 네즈메 SC와 알 아헤드가 강세를 보였다. 현재는 12개 클럽이 참여하며, 승강제를 통해 하위 리그와 연결된다. 2020-21 시즌부터는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리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외국인 선수 및 21세 이하 선수 출전 규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축구 리그 - 레바논 축구 협회
레바논 축구 협회는 1933년 설립되어 레바논의 축구 행정을 담당하며, FIFA, AFC, WAFF에 가입하여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 및 리그를 관리한다. - 193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메이라리가
프리메이라리가는 포르투갈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8개 클럽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SL 벤피카, FC 포르투, 스포르팅 CP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2023년부터 Betclic이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 193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클랙스턴 실드
클랙스턴 실드는 1890년에 시작되어 1934년 재조직된 오스트레일리아의 오랜 야구 대회로, "주 대 주" 형식으로 재개되어 호주 최고 수준의 야구 대회이자 한국 야구와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 레바논 축구에 관한 - 사파 SC
사파 SC는 레바논 베이루트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3회 우승, 레바논 FA컵 3회 우승 등을 기록했으며 AFC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 레바논 축구에 관한 - 알아헤드 FC
레바논 베이루트를 연고로 하는 알아헤드 FC는 1964년 창단되어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9회 우승, 레바논 FA컵 6회 우승, 그리고 2019년 AFC컵 우승을 통해 레바논 클럽 최초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한 레바논 축구의 강호이다.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 |
---|---|
기본 정보 | |
리그 이름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
아랍어 표기 | الدوري اللبناني الدرجة الأولى (알도리 알루브나니 알다라자 알아울라) |
프랑스어 표기 | Championnat du Liban de Football (샹피오나 뒤 리방 드 풋볼) |
국가 | 레바논 |
연맹 | AFC |
창립 | 1934년 5월 |
리그 시스템 | 1부 리그 |
참가 팀 수 | 12팀 |
강등 | 레바논 2부 리그 |
국내 컵 대회 | 레바논 FA컵, 레바논 슈퍼컵, 레바논 페더레이션컵, 레바논 엘리트컵 |
리그 컵 대회 | 레바논 페더레이션컵 |
대륙 컵 대회 | AFC 챌린지컵 |
최근 우승팀 | 알아헤드 (8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안사르 (14회 우승) |
TV 중계 | MTV 레바논, FIFA+ |
웹사이트 | 레바논 축구 협회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25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
기록 | |
최다 득점자 | 파디 알루시 (120골) |
이전 명칭 | |
아랍어 | الدوري اللبناني الممتاز (알도리 알루브나니 알뭄타즈) |
2. 역사
레바논 프리미어리그는 1933년 창설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초창기 나흐다, AUB, DPHB 등이 주도했으며,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는 호메네트멘과 호멘멘 등 아르메니아 클럽들이 강세를 보였다. 레바논 내전 이후 1988년부터 1999년까지는 안사르가 11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리그를 지배했다. 2000년대 들어 네즈메가 안사르의 독주를 막고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2000년대 후반부터는 아헤드가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2. 1. 리그 창설과 초기 (1933년 ~ 1960년대)
1933년 3월 22일, 13개 축구 클럽 대표들이 베이루트의 미네트 엘 호슨 지구에 모여 레바논 축구 협회(LFA)를 창설했다.[1][2] 레바논 프리미어리그는 1934년 5월, 전년도에 장티푸스로 사망한 나흐다 선수 에드먼드 루베이즈를 기리는 에드먼드 루베이즈 컵으로 시작되었다. 이 대회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흐다가 결승전에서 DPHB를 로 꺾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3]
나흐다, AUB, DPHB는 리그 첫 10년 동안 우승컵을 나눠 가졌다.[3]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는 아르메니아 클럽, 주로 호메네트멘과 호멘멘이 레바논 축구계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냈다.[4] 두 클럽은 1943년부터 1969년까지 16시즌 동안 11개의 우승컵을 나눠 가졌다.[3]
2. 2. 레바논 내전과 알 안사르의 독주 (1970년대 ~ 1990년대)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12년 동안 리그가 중단된 후, 안사르는 1988년부터 1999년까지 11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지배했다.[3] 안사르는 리그 최다 연속 우승 횟수에 대한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이 기록은 2002년 라트비아의 스콘토에 의해 깨졌다.[5]2. 3. 네즈메와 알 아헤드의 강세 (2000년대 ~ 현재)
네즈메는 안사르의 연승 행진을 끊고 2000년부터 2005년까지 5번의 리그 우승 중 4번을 차지하였다.[3] 2000년대 후반 이후, 아헤드는 레바논 축구의 지배 세력으로 떠올랐다. 2008년에 첫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후 총 9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3] 2019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한 후, 아헤드는 3연패를 달성했는데, 이는 1992년 안사르 이후 두 번째로 달성된 기록이다.[6] 국내의 재정적, 정치적 문제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레바논 축구 협회(LFA)는 진행 중이던 2019–20 시즌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7][8]3. 리그 방식
레바논 프리미어리그는 1934년에 설립되었으며, 12개 클럽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그 방식은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3. 1. 시스템
레바논 프리미어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한다. 순위는 승점제에 의한다.- 승리: 3점
- 무승부: 1점
- 패배: 0점
- 법정 관리 절차시: 9점 삭감[9]
팀 순위는 총 승점, 승자승 점수, 승자승 골득실차 순으로 결정된다. 그래도 동률일 경우, 전체 골득실차, 전체 득점 순으로 고려한다. 팀 간 동률이 지속될 경우, 징계 점수가 고려된다.[9]
2022-23 시즌은 먼저 모든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11경기를 치른 후, 상위 6개 팀은 승자 스테이지, 하위 6개 팀은 패자 스테이지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10경기를 치러 순위를 결정한다.
승자 스테이지 우승 클럽은 다음 해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 출전권을, 2위 및 레바논 FA컵 우승 클럽은 AFC 챌린지 리그 출전권을 얻는다. 또한, 패자 스테이지 하위 2개 팀은 강등된다.
3. 2. 순위 결정 방식
레바논 프리미어리그에는 12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각 팀은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승점 1점을 얻으며, 패배 시에는 승점을 얻지 못한다.팀 순위는 총 승점, 승자승 점수, 승자승 골득실차 순으로 결정된다. 그래도 순위가 같을 경우, 전체 골득실차, 전체 득점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이 후에도 순위가 같으면 징계 점수가 적은 팀이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9]
3. 3. 스플릿 시스템
2020-21 시즌 전까지 각 클럽은 홈 경기장과 상대 팀 경기장에서 한 번씩, 총 22경기를 치르는 두 번의 경기 (더블 라운드 로빈 시스템)를 거쳤다.2020-21 시즌부터 리그는 각 시즌을 두 단계로 나누는 "분할" 시스템을 채택했다.[9] 첫 번째 단계에서 각 클럽은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러 총 11번의 매치데이를 진행한다. 이어서 리그는 "상위 6개 팀"과 "하위 6개 팀"으로 나뉜다. 2020-21 시즌에는 각 클럽이 해당 섹션의 각 팀과 한 번 더 경기를 치렀다 (5번의 추가 매치데이). 2021-22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클럽은 해당 섹션의 각 팀과 두 번씩 경기를 치렀다 (10번의 추가 매치데이). 2023-24 시즌부터는 해당 섹션의 각 팀과 세 번씩 경기를 치른다 (15번의 추가 매치데이).[10] 첫 번째 단계의 점수는 두 번째 단계로 이월되지만, 2022-23 시즌부터 이월된 점수는 절반으로 줄어든다.[11] 이 시스템은 레바논 축구계의 여러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12][13]
3. 4. 승격 및 강등
승강제 시스템은 1935년부터 레바논 프리미어리그와 레바논 세컨드 디비전 사이에 존재한다. 1935년 4월, 세컨드 디비전 클럽들은 승격 시스템 도입을 요청했다.[1] 시즌 종료 후, 퍼스트 디비전으로 승격을 원하는 모든 세컨드 디비전 팀은 퍼스트 디비전 팀 3팀과 경기를 하여 3경기 모두 승리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 퍼스트 디비전 팀들은 이전 시즌 스쿼드에서 최소 7명의 선수를 보유해야 했다.[1]레바논 프리미어리그에서 최하위 두 팀은 세컨드 디비전으로 강등되고, 세컨드 디비전 상위 두 팀은 레바논 프리미어리그로 승격된다. 2022-23 시즌의 경우, 패자 스테이지 하위 2개 팀이 강등된다.
4. 참가 클럽 (2024-25 시즌)
2024-25 시즌 레바논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는 12개 클럽은 다음과 같다.
클럽 | 연고 도시 | 2023-24 시즌 순위 | 1부 리그 우승 횟수 | 최근 1부 리그 우승 |
---|---|---|---|---|
아헤드 | 베이루트 | 3위 | 9 | 2023-24 |
안사르 | 베이루트 | 2위 | 14 | 2020-21 |
부르지 | 베이루트 | 4위 | 0 | — |
샤밥 가지에 | 가지예 | 10위 | 0 | — |
네즈메 | 베이루트 | 1위 | 9 | 2023-24 |
레이싱 베이루트 | 베이루트 | 6위 | 3 | 1969-70 |
리야디 아바시야 | 아바시예 | 세컨드 디비전 1위 | 0 | — |
사파 | 베이루트 | 5위 | 3 | 2015-16 |
사제스 | 베이루트 | 9위 | 0 | — |
샤밥 바알베크 | 바알베크 | 세컨드 디비전 2위 | 0 | — |
샤밥 사헬 | 베이루트 | 7위 | 0 | — |
타다몬 수르 | 타이어 | 8위 | 0 | — |
5. 역대 우승 클럽 및 클럽별 우승 횟수